오늘날 국제무역은 아주 간단한 제품도 지구 전체를 무대로 생산 유통 판매된다. 미국에서 개발하고 디자인하면 원재료는 동남아시아, 조립은 중국에서 하고 최종 판매는 유럽에서 하는 식이다. 그래서 국제무역이라느 ㄴ용어 대신 '공급 사승망'이라는 용어의 사용 빈도가 더 높아지고 있다. 지구 전체를 무대로 펼쳐지는 생산과 유통 경로의 연속성을 부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IBM의 블록체인 프로젝트는 지구적 공급 사슬망 전체를 리스트럭처링하는 수준이다. 블록체인의 투명성과 변경 불가능성이 공급 사슬망에 꼭 필요한 '신뢰'를 부여하므로 공급 사슬망의 핵심 난제들을 해결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BM은 1월 16일 코발트의 유통을 추적하는 파일럭 프로그램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IBM은 인권과 환경보호를 지원하면서 사회적 책임에 부합되는 공급 사슬망 관리를 강조했다. 미국의 포드자동차, 한국의 LG화학, 중국의 화유코발트가 포르젝트에 참여한다.

코발트는 노트북, 모바일 기기, 전기자동차의 필수 부품인 리튬이온 배터리의 원료다.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화유코발트가 자사가 소유한 광산에서 코발트를 채굴하면 LG화학이 자동차용 배터리를 제작하고 포드자동차의 조립 라인에서 자동차를 완성한다.

코발트는 세게 총산출량의 약 60%가 아프리카 콩고민주공화국에서 나온다. 하지만 코발트의 생산 과정에 대한 인권단체의 비판이 강하다. 아프리카의 코발트 광산은 주로 중국 기업들이 소유하고 있는데 작업 환경이 매우 열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아동 노동이 문제다. 엠네스티가 2017년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코발트 채굴에는 일곱 살 먹은 어린이까지 동원된다. 이들은 12시간 이상 일하고 1~2달러만 받았다. 엠네스티는 글로벌 전자 기업들이 배터리 제조에 코발트를 사용하면서도 기본적인 인권 점검조차 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포드나 LG처럼 국제적으로 인지도가 있는 기업들로서는 어느때건 반기업 캠페인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예측 불가능한 손실을 떠안을 수 있는 것이 문제다.

계획에 따르면 콩고의 광산과 제련소, LG화학의 배터리 공장, 미국 포드의 자동차 조립 라인으로 이동하는 전 과정을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추적한다. 공급망 곳곳에 검수 절차를 삽입하고 그 결과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기록한다. 한번 기록한 데이터를 임의로 변경할 수 없는 블록체인의 특징 때문에 포드자동차는 자사에 사용하는 배터리가 아동 노동과 무관하다는 확신을 가지고 이를 홍보에 이용할 수 있다.


'데이터'와 '실물'의 간격 좁히는 게 난제

그러면 블록체인으로 공급 사슬망으 ㄹ관리하는 제품이 윤리적으로 무결하다는 주장을 신회할 수 있을까. 우선 한 제품의 공급 사슬망이 하나의 기업에 의해 폐쇄적으로 구성되는 것은 극히 드물다는 점에서 이 주장은 타당하다.

코발트를 이용한 배터리 생산에서 볼 수 있듯이 공급 사슬 전 과정에 굵직한 다국적기업 몇 개가 개입한다. 블록체인은 여러 당사자가 동시에 정보 접속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시성이 높다. 다수의 동의를 받지 않으면 한 번 입력된 서류를 조작하기 어렵다. 즉 관련 당사자 모도구 동일한 기록을 열람하면서 그 기록이 누군가의 편의에 의해 변경도ㅚ지 않았다는 사실을 신리할 수 있다.

이렇듯 블록체인이 공급 사슬망을 짓누르는 서류 작업 중 일어나기 쉬운 오류나 의도적인 기만을 방지할 수 잇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이견의 폭이 좁다 하지만 데이터와 실물의 일체성까지 보장하지는 못하기 때문에 이 주장은 부분적으로만 옳다.

다이아몬드는 모양이 모두 다르고 그 차이를 40여 개의 변수로 계측해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블록체인을 이용해 블러드 다이아몬드를 추방하겠다는 프로젝트는 설득력이 있다. 다이아몬드를 특정하는 변수와 다이아몬드를 보관하는 금고의 비밀 키를 융합한 해시 값은 다이아몬드 공급망을 관리하는 블록체인에서 특정 다이아몬드와 동일하게 취급할 수 있다. 

마치 은행의 금보관증이 금 자체의 가치와 동일하게 인식돼 유통될 수 있었듯이 정상적인 방식으로 생산되고 유통되는 다이아몬드의 블록체인 해시 값은 다이아몬드 가격에 거래될 수도 있다. 다이아몬드를 수중에 넣고 있지 않아도 해시 값을 확보한 사람이 그 다이아몬드의 사실상 소유주이기 때문이다. 이는 다이아몬드가 원형을 파괴하면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광물자원이 아니기 때문에 가능하다. 사람의 생체 정보를 변형한 해시 값으로 신원 증명을 할 수 잇는 것도 절반의 사람이나 혼합된 사람이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코발트는 정형적인 모양도 없고 다른 원료와 혼합돼 하나의 완제품이 된다. 블록체인에 올라 잇는 코발트에 대한 기록과 특정 코발트를 연결하는 것은 어렵거나 불가능하다. 참치처럼 개별적인 정체성을 가지고 잇더라도 통조림으로 가공돼 유통된다면 참치 공급망 블록체인도 동일한 문제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

블록체인 옹호론자들은 세서나 사물인터넷과 같은 기술의 발달이 공급 사슬망에서의 기록과 사물의 일체성을 뒷받침할 것이라고 예측한다. 훼손하기 어려운 포장과 변경하기 어려운 바코드, 바코드를 인식하느 ㄴ여러 개의 센서, 센서가 감지한 데이터를 그대로 전송하는 IOT, 이를 기록하고 변경하지 못하도록 하는 블록체인, 빅데이터와 연결해 특정 데이터의 오류를 찾는 인공지능이 협력해 공급사슬망을 관리하면 기나긴 서류 작업과 치명적인 기만으로부터 해방될 수 잇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과정이 복잡하고 동원하는 기술이 많을수록 블록체인이 지향하는 '무신용 신뢰'와는 거리가 멀어진다는 사실은 외면한다. 블록체인의 코발트 공급 사슬망을 신뢰할 수 있다면 이는 코발트를 포장하는 기업이나 노동자를 믿는다는 의미다. 혹은 센서를 납품하는 회사를 믿어야 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블록체인이 공급 사슬망을 리스트럭처링하고 지구촌 시민들이 블록체인 공급 사슬망을 믿을 수 잇다면 그것은 IBM과 같은 다국적기업이 발벗고 나섰기 때문이다. IBM의 자금과 기술을 신뢰하기 때문에 IBM이 만들고 운영하는 블록체인 공급망을 믿을 수 잇다. 

물론 블록체인이 스스로 풀지 못하는 문제를 다국적기업의 신뢰에 기대어 풀어야 한다면 블록체인이 신뢰 문제의 종결자라는 주장은 허구가 돼 버린다. 하지만 이 허구를 인정하는 것과 결국에는 블록체인이 공급 사슬망을 혁신할 것이라고 기대하는 것은 양립 불가능한 모순은 아니다. 논리상으로는 모순이지만 그런 모순이 이미 실현디ㅗ고 있는 것이 명백한 현실이다. 아마도 인류는 신뢰를 먹고 살아왔으면서도 그 속성과 작동 원리를 미처 파악하지 못했던 것 같다. 비트코인과 블록체인이 해결해주는 것은 신뢰 문제 이전에 신뢰에 대한 무지라는 인문학적 난제일 가능성이 높다.







------------------------------------------------

안녕하세요! 구독자님.

재미있게 읽으셨나요?


본문에 있는 후원광고를 '터치' or '클릭' 한번 부탁드립니다!

Economic Insight : K의 큰 힘이 됩니다!


앞으로도 좋은 글로 찾아뵙겠습니다.

테마별로 다양한 글이 있으니 둘러봐주세요!


아메리카노 한잔의 후원도 좋습니다.

신한 110-388-696576

------------------------------------------------

'산업 보고서 > 블록체인, 코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 콘트랙트와 오라클 문제  (0) 2019.01.12

스마트 콘트랙트는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이행되는 계약이다. 온라인 포커를 할 때 경기의 승패를 컴퓨터가 자동으로 판별해 줄 수 있기 때문에 결제의 완결성만 보장되면 도박이라는 계약이 자동으로 이행된다. 하지만 금융회사나 신용카드사가 도박 게임에 결제해 주지 않으므로 온라인 도박은 스마트 콘트랙트의 발화점이 될 수 없었다. 금융회사가 도박 모형을 약간 변형해 보험의 스마트 콘트랙트까지 디자인할 수 있게 됐다.


하지만 대부분의 보험 계약은 디지털 바깥에서 벌어지는 사건이 코드로 입력돼야 한다. 암에 걸렸다는 것으 ㄹ누군가 확인하고 입력해야 한다. 결국 스마트 콘트랙트 보험이 작동하려면 모두가 신뢰하는 의사나 병원이 필요하다. 블록체인은 불신 문제를 해결하는 솔루션이므로 이는 자기모순적인 난제다. 시스템 바깥에서 시스템에 정확한 정보를 입력하는 주체를 오라클이라고 부르고 오라클을 믿을 수 있는냐와 관련한 스마트 콘트랙트 난제를 오라클 문제라고 한다. 최근 이더리움 창시자 비탈릭 부테린은 이 오라클 문제가 생각보다 풀기 어렵다는 것을 고백했다. 


신기술의 등장이 현실에 접목되기 위해서는 생태계의 전반적인 구조변경과 맞물려야 한다. 생태계의 변경은 한 산업의 변화만으로는 이루기 어렵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