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말 미국에서 장기금리가 단기금리보다 낮아지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10년물과 3개월물). 이는 12년만에 일어난 일이데요. 이것의 의미는 돈을 10년간 빌리면 연 2.4%를 내면 되는데 돈을 3개월간 빌리겠다고 하면 연 2.5%를 내야한다는 뜻입니다.


이건 3개월간 빌리는 돈의 이자율이 급등해서가 아니라 10년간 빌리는 돈의 이자율이 최근 며칠간 급격히 낮아진 탓이 큽니다. 미국의 국채 10년물 금리는 열츨 전만해도 2.6%였으니까요.


10년물 금리가 내려간 것은 미국 연준이 올해 금리를 올리지 않겠다고 최근 발표하면서 사람들의 불안한 심리가 시장에 퍼진 결과입니다. '불경기가 다가오고 있구나', '앞으로(10년 후에도) 이자율이 지금보다 더 높아지기는 어렵겠구나'하는 불안감이 그것입니다.


만기가 10년인 채권의 이자율(장기금리)은 10년후의 경기에 대한 사람들의 심리를 반영합니다. 10년 후에는 경기가 지금보다 좋을 것이라고 다들 생각하면 만기가 10년인 채권의 이자율은 현재 시중금리보다 높게 형성되는거죠. 경기가 점점 좋아지면 이자율도 지금보다 점점 더 높을거라는 예상이 그 10년짜리 채권의 이자율에 반영되기 때문입니다.


마찬가지로 만기가 2년인 채권의 이자율(단기금리)은 2년 후의 경기에 대한 심리를 반영합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경기가 좋을 때는 2년 후보다 10년 후의 경기가 더 좋을 거라 낙관합니다. 그래서 10년 만기 채권의 이자율이 2년 만기 채권보다 높은거죠.


그러나 경기가 나빠질 것이라는 걱정이 많아지면 10년 만기 채권의 이자율과 2년 만기 채권의 이자율이 비슷해지거나 혹은 역전되기도 합니다. 그리고 이 '역전'된 상황을 현재 세계경제는 경기가 침체될 가능성이 커졌다는 신호로 받아들이는 겁니다.

장단기 금리차 설명


이번에 문제가 됐던 것은 미국의 10년물 국채와 3개월물 국채입니다. 3개월물 국체는 3개월 후의 경기 상황에 대한 시장의 전망이 반영된 금리라고 보기에는 만기가 너무 짧은 단기금리입니다. 이것은 미래의 경기전망이라기보다는 그냥 미국의 중앙은행이 결정한 기준금리를 반영한 금리인거죠. 일반적으로 미국 중앙은행이 금리를 내릴 것 같으면 이 3개월물 금리도 내려갑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경기침체를 포착하는 역전현상은 2년물 금리와 10년물 금리를 비교합니다.


더불어 3개월물 금리가 내려가지 않고 버티고 있는데 10년짜리 국채 금리가 내려간다는 것은 미국의 경기 전망이 나빠지고 있는데 미국 중앙은행은 금리를 내리는 걸 거부하고 있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이제 그만 버티고 기준금리를 내려라'라는 메세지를 시장이 중앙은행에게 하고 있느 것이죠.


장단기 금리차가 마이너스로 역전됐다고 경기 침체가 반드시 온다는 의미는 아닙니다만 시장은 경기를 나쁘게 보는데 중앙은행은 금리를 낮추지 않고 있으니 그 부담으로 경기 침체가 올 가능성이 높은 것은 사실입니다. 혹은 중앙은행이 금리를 내리지 않고 버티다가 정말 경기가 추락하는 신호가 오면 그때 금리를 내리면서 장단기 금리차는 오히려 플러스로 돌아갈 수도 있습니다.


결국 장단기 금리차가 마이너스로 되는 것은 경기가 곧 침체될 것이라는 신호이며 호황이 곧 끝나간다는 걸 의미합니다. 그러나 문제는 이 호황이 끝나는 시점이 시간으로 치면 밤 12시일 때 그 종료신호가 11시부터 나타난다는 것입니다. 특히 주식시장에서는 어떤이에게는 대비하기엔 너무 짧은 시간일수도 있고, 누군가에게는 또다른 기회의 시간일 수도 있으니(공매도, '마지막 호황을 누리자'주의 등) 기존보다 더 복잡한 현상들이 발생합니다. 종잡을 수 없는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장단기 금리를 역전시킨 시장의 판단이 옳을지, 아직 금리를 내릴 상황은 아니라는 중앙은행이 이길 지는 지켜봐야 할 일입니다만 주식시장에서는 이런 신호 자체를 불확실성으로 받아들이기 때문에 큰 이슈거리입니다.


최근 미국 증시가 급락한 배경은 다음 편에 있습니다.

https://semiconductor-digest.tistory.com/392


안녕하세요.
Economic Insight:K의 구독자님!
매일 세계의 변화와 경제를 
전해드리겠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에 있는 광고배너를 한번 터치해 주세요!
저에게 10원의 구독료가 들어옵니다^^.

또한 위의 쿠팡배너를 통해 제품을 검색/구입하시면 
결제액의 3%도 적립되니 이용해 주세요!

커피 한잔의 후원도 좋습니다.
신한 110-388-696576 김민수 

유튜브, 페이스북에
Economic Insight:K 를 검색해 보세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