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 2019를 통해 보는 관점입니다.


중요한 관찰 포인트는 총 4가지다. 

첫째, 엔비디아 인텔 퀄컴 등 IT 공룡들의 선도적 기술력과 양산 기반의 자동차 제조사들의 기술 격차가 축소되는 현상이 나타났다는 점이다. IT 거인들은 오랜 기간 기술 투자에만 집중, 실제 제품하로 이익의 회수가 필요한 시점이다. 차량 제조 기술과 대량생산에선 자동차 업체가 유리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자율주행 시스템 솔루션 업체들의 등장, 활발한 전략적 제휴와 기술 인력의 이동 등으로 기술 수준 격차가 축소되는 것은 당영한 현상이라고 본다.

둘째, 반자율주행과 완전자율주행에 대한 명학한 경계를 나누되 인간의 생명을 다른 무엇보다 최상위 개념으로 두겠다는 의지가 보인다. 모빌아이의 반자율주행 고도화(생명 보호 기술과 능동적 안전 강화), 도요타의 가디언과 쇼퍼의 구분이 여기에 해당된다. 보다 현실적으로 레벨2 이상에서 적극적으로 인간의 부족함을 보완하겠다는 것이다.

셋째, TAAS 3.0이라는 뚜렷한 지향점을 두고 생태계가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미 대부분 업체들이 자율주행 기술을 도입하고 있었고 자동차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업체들과 부품사들이 다양한 형태의 온디매드 차량을 출시하고 있어 차량 공유를 미래의 모빌리티 형태로 인정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AAS 시대를 앞둔 물류 분야에서도 신선한 시도가 많았다는 점도 이를 뒷받침해줬다. 포드의 자율주행 배달, 컨티넨탈의 4족 로봇, 도요타의 이팔레트 등이 여기에 해당됐다. TAAS 기반 EV AV로의 변화로 차량 형태 변화와 이에 따른 새로운 공간 활용 고민도 활봘했는데 마치 항공기의 이코노미 클래스아 퍼스트 클래를 나누는 것 같은 다른 접근들이 눈에 띄었다.

마직막으로 아웃도어에서의 자율주행 시스템이 인도어로 확장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히어의 실내 지도뿐만 아니라 첫 진출에 인기를 끌었던 네이버 랩스의 M1이라는 실내 매핑 로봇도 이런 맥랙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인지 판단 제어라는 3단계 프로세스는 도로나 실내에서 동일하게 적용된다. 실내에서 행랑용 로봇이나 로봇의 이동을 위해선 필연적 변화이고 시장성이 큰 영역이라고 생각된다.







------------------------------------------------

안녕하세요! 

Economic Insight : K의 방문자님.

글은 재미있게 읽으셨나요?


본문 상단과 하단에 광고를 '터치' or '클릭' 하시면 

더 좋은 글을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테마별로 다양한 글이 있으니 둘러봐주세요!


아메리카노 한잔의 후원도 좋습니다.

신한 110-388-696576

------------------------------------------------

중소벤처기업부가 올해 추가경정예산으로 편성된 1000억원 가량을 투입해 기술혁신형 예비창업자 1500명을 선발한다.

기술혁신형 창업기업은 혁신적 기술과 아이디어를 보유한 창업기업으로 대규모 자금을 조달하기 이전 단계의 설립된지 오래되지 않은 신생기업을 말한다. 

정부는 인공지능, 자율주행, 핀테크 등 4차 산업혁명 분야를 중심으로 총 1500명의 예비 창업자를 선발해 각각 최대 1억원(평균 6350만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신청대상은 만 39세 이하의 예비창업자(창업 6개월 이내 포함)다. 참여를 희망하는 예비창업자는 6월25일~7월 12일까지 'K-스타트업'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하면된다.

[자료=중소벤처기업부]

선정된 예비창업자는 사업모델 등에 대한 사전교육을 의무적으로 이수해야 하며, 예비창업자와 전문가(멘토)를 1:1로 연계한 이후 창업상품권(바우처)를 지급 받을 수 있다. 

바우처는 최대 1억원까지 지원된다. 현금 지급이 아닌 예비창업자에게 일정 금액의 점수(포인트)를 배정하고, 해당 한도 내에서 필요에 따라 사용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김지현 중기부 기술창업과장은 "예비창업자만을 위한 사업이 신설된 것에 큰 의미가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기존 창업지원사업도 성장단계에 따라 전면적으로 개편할 계획"이라며 "혁신적 기술과 아이디어를 가진 청년층이 보다 적극적으로 도전할 수 있도록 이 사업 추진에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4차산업 기술혁신형 예비창업자 1500명 선발…최대 1억원 지원
http://www.newspim.com/news/view/20180618000087

☞ 4차 산업분야 청년창업가, 최대 1억 바우처 '지원'
http://www.metroseoul.co.kr/news/newsview…

☞ 중기부, 혁신창업 청년 지원 나섰다
http://www.e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

☞ 중기부, 기술혁신형 창업지원 본격 추진…예비창업자에 최대 1억 지원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83030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