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편은 국내 미세먼지 농도가 과거에 비해서는 줄어들었다는 내용을, 4편은 중국의 배출량도 줄어드는 추세라는 내용을 담았습니다. 
그런데도 국내 미세먼지에 있어 중국이 분명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는 사실은 부정할 수 없습니다. 줄었더라도 중국은 여전히 세계의 굴뚝으로 불릴 만큼 '절대적인' 오염 물질 배출량이 많은 국가입니다. 편서풍 지대에 있으니 우리는 중국의 영향을 상당히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다면 그 양이 얼마나 될까요? 많은 사람들이 얘기하는 것처럼 국내 미세먼지에 있어 절대적인 수준일까요? 이번 글에서 많은 분들이 가장 궁금해 할 '중국발 몇 %?'를 담아보려고 합니다.

-중국발이 몇 %냐는 연구 결과와 기사는 그동안 지겹도록 많이 나왔죠. 그런데 그 숫자는 어떻게 나왔을까요? 먼지를 붙잡아서 현미경으로 들여다 보면 거기에 'made in China'가 써있을까요? 그럴 리 없죠. 보통은 복잡한 모델링을 통해 '추정'하는 방법을 쓰고 있습니다. 과정도 알기 어려운 복잡한 모델링보다 일반인도 알기 쉬운 수준에서 중국발을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해 보겠습니다. 이른바 '중국이 없다면 한국의 공기는 어떤 수준일까' 방법입니다.

-지난해 한국의 연평균 초미세먼지 농도는 24㎍/㎥입니다. 만약 중국발이 50%를 차지한다고 가정해 봅시다. 중국만 없다면 한국의 초미세먼지 농도는 12㎍/㎥로 줄어들 겁니다.(물론 이는 초미세먼지의 복잡한 과학적 특성을 매우 단순화한 결과입니다.) 이런 방법으로 제가 그림 하나를 그려봤습니다. 발로 그려서 죄송요.

-중국발이 정말 절대적인 수준인 90%를 차지한다고 가정해 봅시다. 중국이 없다면, 즉 국내에서 발생하는 오염 물질만으로는 농도가 2.4㎍/㎥밖에 안 될 겁니다. 이게 지구 상에서 가능한 숫자일까요? 해외 연구 결과를 찾아보니 북극에서 관측한 농도가 2㎍/㎥ 정도입니다. 만약 중국발이 90%라면 우리나라에서 배출되는 오염 물질의 양은 극지에서 나오는 수준과 비슷하다는 재미난 결론이 나옵니다. 국가별 통계를 찾아봐도 전 세계에서 가장 낮은 국가가 아이슬란드로 5㎍/㎥였습니다. 중국발이 80%라고 가정했을 때 나오는 국내 농도겠네요.

-중국발이 50%라고 가정하면 농도는 12㎍/㎥이 나오죠. 이 정도면 독일, 프랑스 등 유럽 선진국과 비슷한 수준이네요. 글쎄요. 우리가 유럽 선진국 만큼 환경 규제가 심한가요? 개개인의 환경 의식이 그만큼 선진화 했나요? 제 스스로도 우리나라가 유럽 선진국과 비슷하다고 하기엔 좀 부끄럽네요. 
지난해 연평균 농도를 보니 15㎍/㎥ 안팎인 나라가 이탈리아, 브라질, 싱가포르 등이 있네요. 현재 우리나라 농도의 약 60% 수준입니다.

-물론 이러한 추정 방식이 그다지 과학적이지 않다는 것은 인정합니다. 그런데도 이런 방법으로 설명드리는 것은 일반인들에게 전문가들이 분석한 결과는 복잡한 과정과 불확실성에 대한 이해 없이 결과로 나온 숫자 하나만 남기 때문입니다. 그러다 보니 많은 사람들이 '위성 사진'이라 믿는 그래픽 몇 장, 서풍 불면 농도가 높아지는 이유, 백령도의 농도가 높은 이유 등을 통해 본인이 추정한 '중국발 %'를 훨씬 더 신뢰하는 일이 벌어지고 있는 게 아닌가 싶습니다. 그래서 누구나 와닿을 만한 쉬운 방법이 없을까 고민하다 이런 방법을 제안해 봤습니다.

-그래도 여전히 중국발이 90%라고 믿으십니까? 
그렇다면 당신은 펭귄처럼 자동차 없이 걷고 헤엄치며 사셨습니까?
북극곰처럼 전기도 쓰지 않고 겨울잠 자며 살아왔습니까?
당신은 펭귄도 북극곰도 아닌, 적어도 국내 미세먼지의 절반 정도는 책임지고 있는 한국 사람입니다.


<다음 편 예고>
여기서 나온 결과는 다 평균 농도 아니냐고요?
'평균의 함정' 아니냐고요?
우리 몸에 해로운 건 고농도 시기라고요?
이런 질문에 대한 답을 담아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Economic Insight : K의 구독자님!
글은 잘 읽으셨나요?

도움이 되셨다면, 
블로그에 있는 광고배너를 한번 터치해 주세요!
저에게 10원의 구독료가 들어옵니다^^.

또한 위의 쿠팡배너를 통해 제품을 검색/구입하시면 
결제액의 3%도 적립되니 이용해 주세요!

소액의 후원도 좋습니다.
신한 110-388-696576 
-Alexander K

페이스북, 유튜브 검색 - 이코노믹 인사이트 K


'사회 단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세먼지의 진실 7탄  (0) 2019.03.17
미세먼지의 진실 6탄  (0) 2019.03.13
미세먼지의 진실 4탄  (0) 2019.03.13
미세먼지의 진실 3탄  (0) 2019.03.13
미세먼지의 진실 2탄  (0) 2019.03.1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