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혼인, 이혼 통계.hwp

출처: 통계청


어제(3/20) 통계청에서 발표한 자료다.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혼인건수는 25만 7천 6백 건으로 전년대비 2.6% 감소(-6천8백건)

2. 이혼건수는 10만 8천 7백 건으로 전년대비 2.5% 증가(2천 7백 건)

3. 외국인과의 혼인은 전년대비 8.9% 증가, 이혼은 전년과 유사


우리나라는 단일민족에서 다민족으로 변화하는 추세다.

다민족국가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혼인율(인구 1천명단 혼인신고 건수)이 1970년 통계작성 이래 가장 낮은 수치라고 한다. 연간 결혼식 건수도 90년대 중반에는 40만건을 넘겼는데 작년에는 25만에서 멈췄다.


사회 인식과 경제 상황이 결혼을 하기에 충분치 않다는 것도 맞지만 더불어 인구구조의 변화도 이 통계 결과의 큰 몫을 담당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냥 우리나라에 결혼 할 연령대의 인구가 과거 70년대보다 많이 줄어들었다는거다. 70년대생들이 성인이 되서 결혼하는 90년대 중반까지 혼인 수가 많았다는 뜻이다. (1970년대 전후 연간 100만명의 신생아들이 태어났다-https://semiconductor-digest.tistory.com/360

신생아

반대로 요즘 결혼하는 사람들은 1980년대 중반 이후 출생자들인데, 이들은 매해 65만명 이하로 태어난 신생아들 중 하나다. 70년대와 80년대는 우리나라에서 신생아 숫자가 가장 큰 감소(-30만)를 보인 시대였다.


이후 IMF를 거치면서 2000년대까지는 신생아 숫자가  매년 60~65만 사이었으니 이번 통계청 자료결과의 대부분은 향후 몇년은 비슷하지 않을까 싶다.



안녕하세요.
Economic Insight:K의 구독자님!
글은 잘 읽으셨나요?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에 있는 광고배너를 한번 터치해 주세요!
저에게 10원의 구독료가 들어옵니다^^.

또한 위의 쿠팡배너를 통해 제품을 검색/구입하시면 
결제액의 3%도 적립되니 이용해 주세요!

커피 한잔의 후원도 좋습니다.
신한 110-388-696576 김민수 

유튜브에 Economic Insight:K 를 검색해 보세요.


+ Recent posts